내일배움캠프
9 TIL
퀭한눈 달팽이
2022. 11. 9. 21:04
알고리즘 들어가기 앞서 python 강의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.
[]이 아닌 ()으로 변경시 불변형
a = ('사과','감','배')
set = 중복 제거
a = [1,2,3,4,5,6,1,2,3,4,9]
a_set = set(a)
print(a_set)
f-string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만드는 법 (전, 후)
for a in scores :
name = a['name']
score = str(a['score']) # 정수를 문자로 변경 str()
print(name+'의 점수는 '+score+ '점 입니다')
for a in scores :
name = a['name']
score = a['score']
print(f'{name}의 점수는 {score} 입니다')
try, except 이용한 해결 방법 (전, 후)
people = [
{'name': 'bob', 'age': 20},
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{'name': 'john', 'age': 7},
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{'name': 'ben', 'age': 27},
{'name': 'bobby'}, # age가 없어 기존 if문은 에러 남
{'name': 'red', 'age': 32},
{'name': 'queen', 'age': 25}
]
for a in people :
name = a['name']
age = a['age']
if age > 20 :
print(name)
for a in people :
name = a['name']
try: # 실행하게 하고
age = a['age']
if age > 20:
print(name)
except: # 오류시 출력 문
print(name,'애러 입니다')
불러오고 싶은 from @, import @ 부분은 모두, 선택
from main_func import *
같은결과 다른 서식
A 짝수, 홀수 출력 문
num = 3
if num % 2 == 0:
result = '짝수'
else:
result = '홀수'
print(f'{num}은 {result} 입니다')
num = 3
result = ('짝수' if num % 2 == 0 else '홀수')
print(f'{num}은 {result} 입니다')
B 리스트 수*2 문
a_list = [1, 3, 2, 5, 1, 2]
b_list = []
for a in a_list:
b_list.append(a * 2)
print(b_list)
a_list = [1,3,2,5,1,2]
b_list = [a*2 for a in a_list]
print(b_list)
map
result = map(lambda x: y, z) # x= 함수 괄호 안의 값, y = 식, z = 리스트 보통 x: x, 리스트 로 사용
*args
def cal(*args): # 인자들을 무제한으로 받을 수 있음
for name in args:
print(f'{name} 밥 먹어라~')
cal('민재','민수')
내일은 알고리즘과 다중 for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