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차 병원 프로잭트 정리프로잭트 2023. 1. 6. 19:36
상황 3조와 10조가 합쳐져서 인원이 많아짐에 따라 역활 분담을 개개인 진행도에 맞춰
비슷한 사람끼리 묶어 소규모 팀을 만들었고 각 팀 마다 진행과 목표 차이가 있습니다
팀명 1차 병동
이유 부상자가 많은 팀이여서 정했습니다
마인드 아래 짤과 같이 의도한것은 아니지만 구동된다면 상관없다 !!
팀 A ( 입문과제 ~ ) 정의준, 김솔찬, 이은지, 장지예, 남궁준
B ( 숙력 LV2 ~ ) 김민재, 양우정
C ( ~ 프로잭트 ) 김태훈, 김갑신
목표 각 팀별로 진도에 맞춰 프로잭트에 기여하며, 최종 심화 단계 진입 및 프로잭트 완성
A 전반적인 흐름, 스스로 요구사항을 보고 흐름을 만들수 있는 능력.(자신감 가지기!!)
B 티켓 모두다 구현하기, 전체적 구현을 통해서 한번 더 흐름잡기. 심화단계까지 도전하기
C 시큐리티 적용 및 이해
역할 A Post CRUD 작성
B 새로 만들어지는 User, Comment 에 맞춰 각 CRUD 수정 및 작성
C 시큐리티를 이용한 보안적용, 좋아요 및 회원탈퇴 기능 구현
API 중간프로젝트-C(심화완성목표) (notion.site
시연영상 회고록 팀원 전부의 회고록을 남기기엔 구성원이 많아 제것만 정리하고 나머진 링크.
팀 회고록 링크 : https://holloweyed-snail.tistory.com/65
김민재 팀장 ( 허울뿐인 ), 입문부터 숙련Lv2까지 완주자
코드자랑 입문부터 숙련까지 구현한 코드 전부가 제 자랑입니다.
좋았던점 입문, 심화 과제를 원래 제출날자안에 만들지 못했고, 요번 프로잭트 들어갈때도 내가 기여를할 수 있을까? 걱정이 앞서면서 자신이 없었는데 그랬던 제가 늦게나마 진도를 따라갈 수 있고,
위 코드자랑 처럼 요구사항에 맞춰 만들 수 있게된 점
요번 프로잭트 심화과정까진 밟지 못했지만 매우 만족스럽고 좋았습니다
아쉬웠던점 JWT를 이해하기 위해 하루동안 끙끙댄점이 아쉽게 느껴집니다.조금 더 유도리있게 행동했으면 심화과정도 참여할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남습니다
코드자랑 전체가 좋았다곤 하나 기억에 남는 코드가 있어 소개하자면 앙숙이였던 JWT 녀석을
응용하여 만든 ADMIN 코드가 있습니다 완전정복은 못했지만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
@DeleteMapping("/api/admin/{postId}/comment/{commentId}") public void deleteComment(@PathVariable Long postId, @PathVariable Long commentId, HttpServletRequest request) { String token = jwtUtil.resolveToken(request); Claims claims; if (token != null) { if (jwtUtil.validateToken(token)) { claims = jwtUtil.getUserInfoFromToken(token); String username = claims.getSubject(); User user = userRepository.findByUsername(username).orElseThrow(() ->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없는 유저")); if (!user.getRole().equals(UserRoleEnum.ADMIN)) {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관리자가 아닙니다"); } adminService.deleteComment(postId, commentId); } else {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유효하지 않은 토큰"); } } else {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토큰값이 잘못됨"); } }
↓↓↓ 깃허브 링크 ↓↓↓
GitHub - mitoconcrete/sparta-mid-project-B
Contribute to mitoconcrete/sparta-mid-project-B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↓↓↓ 프로잭트 진행 기간동안 TIL ↓↓↓
47 TIL
숙련 과제를 진행하다가 업무 분할로 인해 진행에 어려움이 생겨 임시로 UserEntity 만들어서 값 넣고 잘 돌아가나 확인 해보고 이리저리 치이다가 후발대 수업듣고 진정이됬네요 ㅋㅋ 객체지향적
holloweyed-snail.tistory.com
48 TIL
프로잭트 하면할 수록 왜 이걸 재때 못 만들었을까 아쉬움이 계속 남습니다. 실상 변수명이 늘어나면서 뭐가 많아보이는거지 실상 만들어보면 어려운게 없네요 매일매일 발전하는게 느껴져서
holloweyed-snail.tistory.com
49 TIL
별거 아닐거라 생각했던 Jwt 검증 부분이 오류가 뜨면서 하루를 꼬박 박게 됬습니다 문제는 하루를 다 소비하고도 이게 왜 안되는건지 이해를 못하는고 있다는 점이겠네요 아래 검증부분에서 Cla
holloweyed-snail.tistory.com
50 TIL
내일 중간 프로잭트 제출날인데 마감 맞추는게 제일 힘달다더니 맞는말이네요 요즘 TIL 내용이 너무 부실하다 생각할 수 있는데 막상 정리할만한게 없어서 오늘 진행했던 코딩중에서 기억에 남
holloweyed-snail.tistory.com
51 TIL
123
holloweyed-snail.tistory.com
'프로잭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종 프로잭트 2번째 S.A (0) 2023.02.10 최종 프로잭트 S.A (1) 2023.02.06 아침채조팀 프로잭트 (0) 2023.01.25 메모장 프로잭트 (0) 2022.11.29 사일런스 프로젝트 소개 (0) 2022.11.02